AWS Certified AI Practitioner 개념정리 -3
·
ETC/AI
이제 모의고사 2개를 풀고 2번째 꺼를 2번째 풀때 96% 정도의 점수가 나왔다.여기 작성하는 개념을 어느정도 계속 읽다보면 암기가 자연스럽게 되면서 문제풀때 더 기억이 잘나는 것 같다. 이번 3번째 개념정리에서는 1,2에서 다루지 않은 좀 더 어려운 개념이 있으면 표로 깔끔하게 정리하는것을 목표로 한다.  기계 학습의 주요 유형에는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딥 러닝(Deep Learning)**의 세 가지가 있습니다 Underfitting 과 Overfitting 그리고 bias 와 variance 상관관계 외우는방법 언더는 바보 > under 높으면 bias 도 높다. 상관관계이므로 variance는 낮다 오버는 반대..
AWS Certified AI Practitioner 개념정리 -2
·
ETC/AWS- Amazon Web Service
오늘도 평소에 폰으로만 문제풀다가 드디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되어서 개념 및 빈출문제를 몇가지 더 추가해본다. 일단 가장 중요한게 바로 이 장표이다. 여기서 각각 머하는지만 외워도 훨씬 좋다.출처는: https://www.youtube.com/watch?v=SPDUGSykHkE 이다.   분류서비스설명예시Generative AIAmazon Bedrock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할 수 있는 AWS 서비스텍스트 생성, 이미지 생성, 코드 자동 생성Amazon TitanAWS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 모델챗봇, 자연어 처리(NLP), 자동 번역비즈니스 AIAmazon PersonalizeAI 기반 추천 시스템제품 추천, 개인 맞춤 콘텐츠 추천Amazon Forecast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한 예측수요 예측, ..
AWS Certified AI Practitioner 개념정리 -1
·
ETC/AI
그냥 시험 대비용으로 문제풀면서 정리한 개념들이다.일단 각각의 서비스들이 무엇인지 간단하게만 정리하고, 각각의 세부 기능을 묻는 문제들이 나오는것으로 보아, 어떤 것을 하려고 할 때 어떤 기능을 써야하는지 알아내면 될 것 같다. Amazon Rekognition-이미지랑 비디오를 분석해주는 서비스. 컴퓨터 비전 등, S3에 저장된 파일을 가지고 분석해줄 수 있음. Amazon SageMaker-머신러닝 서비스임. 빠르게 빌드해서 ML을 배포할 수 있는 그런 서비스라고 보면 됨.-Sage(현명한) + Maker(만드는 것) → "지혜를 만들어내는 도구"-Amazon SageMaker는 AI 모델을 학습하고, 배포하고, 최적화하는 머신러닝 플랫폼 Amazon DeepRacer-RL 즉 강화학습 Reinfor..
Flutter initstate() 에서 await 함수 실행하는 방법 알아보기
·
ETC/Flutter
이번 게시물에서는 initstate 에서 await 함수 실행시키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배경지식은 잠깐 짧게만 설명하도록 하겠다. Flutter의 위젯의 종류는 stateless widget과 statefulwidget이 있다.일단 그 중에서 statefulwidget에는 생애주기가 있는데, build 함수가 실행되기전에 initstate()가 실행된다.그럼 build 되기전에 initstate로 내가 필요한 함수들을 먼저 다 실행을 쭉 시켜주고 난 뒤에 그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build를 진행하면 될텐데 initstate 함수안에 await을 쓰면 오류가 난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 1. statefulwidget인지 확인한다.statefulwidget이라면, state클래스를 찾고 그안에 ove..
JWT 토큰이란 무엇인지 3분만에 바로 이해하기 (+Access Token, Refresh Token)
·
ETC/기타 프로그래밍
JWT (JSON Web Token) -구성: Header, Payload, Signature헤더, 페이로드, 시그니처 이렇게 3등분되어 구성되어 있다. (일단 3개로 나눠져있다로 외우자.) 들어있을때 뭔가 암호화되어 들어있어댜 될텐데, 알고리즘으로 Base64 인코딩해서 값이 변환이 되어있다.(이건 몰라도 패스해도된다.) Header : 토큰의 종류와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음.예시:{ "alg": "HS256", "typ":"JWT"} 알고리즘 256에 JWT 타입이구나~ 라고 알 수 있다. Payload: 발행일, 만료일, 사용자ID등 검증에 필요한 정보가 들어있다. Signature: Base64로 인코딩된 Header와 Payload를 알고리즘으로 암호화 시켜서 들어있다. 그말은 즉..
AWS IAM 정리3- MFA와 계정암호 정책 설정(Google Authenticator 설정법)
·
ETC/AWS- Amazon Web Service
1편과 2편에서 IAM 사용자와 그룹, 그리고 Policy라고하는 정책을 만들고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제 총 관리계정인 루트사용자와, IAM사용자들이 로그인할 때 어떠한 패스워드 정책을 가지고 로그인을 시킬지와, MFA를 활용해서 구글 Authenticator 를 사용해서 로그인을 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계정 비밀번호 정책은 아래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IAM에서 계정설정에 들어오면 암호정책이 들어있다. 여기서 편집버튼을 눌러서 암호 보안을 강화 할 수 있다. 편집을 누르고 사용자 지정을 눌러서 내가 원하는 만큼 보안을 강화 시킬 수 있다. 우리가 사용자경험 상, 아래와 같은 암호정책이 심하게 걸린 사이트들이 있지 않는가? 우리도 이렇게 암호정책을 강화할 수 있다. ..
Yellongs
'ETC' 카테고리의 글 목록